8

나를 나답게 만드는 것들(Bill Sullivan, PLEASED TO MEET ME)

황홀하다. 그리고 생명의 역사 앞에서 한없이 겸손해진다. 이 책의 마지막 장을 덮고 든 느낌이다. 책을 읽고 이런 기분이 들었던 적이 있었던가? 나를 나답게 하는 것들. 이 책의 제목이다. 제법 잘 지은 제목 같다. 이 책을 읽으면 '나'라는 존재가 어떻게 구성되고 있고 어떤 메커니즘으로 구동되는지 조금이나마 그 작동 방식을 엿볼 수 있다. 나는 추진력이 좋고 도전적인 성향을 가진 사람들을 욕망해왔다. 어떤 선택을 할 때 고민하고 도망칠 핑계를 찾는 나와 달리 그들은 너무나 쉽게 도전하는 것 같아 보이기 때문이다. 이런 성향은 자본주의 세계에서 승자와 패자를 가를 만큼 중요한 특질이 된 걸지도 모른다. 도전하지 않으면 언제나 같은 상태이니 말이다. 그래서 궁금했다. '똑같은 종에 속하는데 왜 저 사람은 ..

Book 2023.04.25

행복의 기원 (서은국) - 행복은 아이스크림과 같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각기 저마다의 이유로 삶을 살아간다. 그들에게 무엇 때문에 사냐고 물어보면, 흔히 돌아오는 답변은 몇 개로 한정된다. ['행복하기 위해서', '돈을 많이 벌기 위해'] 이외에도 더 다양한 대답이 있겠지만, 내가 여태컷 들어온 대답은 '돈'과 '행복' 정도였다. 사실 돈을 벌기 위해 산다는 답변 역시 포장지를 한 꺼풀 벗기면 대다수가 행복하게 살기 위해 돈을 번다고 대답한다. 그렇다면 우리는 왜 행복을 추구하는가? 행복하게 산다는 건 무엇을 의미하는가? 철학적인 관점에서 행복을 정의하면, 사람마다 그 정의가 다양할 수 있겠지만, 이 책의 저자는 행복을 생물학적 의미에서 조망한다. 즉, 생물학적 의미에서 행복이란 매우 구체적인 경험이다. 당신은 언제 행복하다는 감정을 느끼는가? 월급을 많이..

Book 2023.02.26

쾌락에는 대가가 따른다. Dopamin Nation (Anna Lembke)

이 책은 저번에 읽은 Insta Brain과 내용이 매우 흡사하다. 중독에 관한 내용이기 때문이다. 책의 저자인 Anna Lembke는 스탠퍼드대학교 의과대학 정신의학•중독의학 교수로 재직중이다. 이 책은 그녀가 의사로 재직하면서 만났던 다양한 중독 환자들의 이야기다. 그들이 어떤 중독 증세가 있었는지, 이에 대해 그녀는 어떤 처방을 내렸는지, 그리고 거기에 더불어 그녀의 중독 경험 역시 등장한다. Insta Brain만큼 나에게 신선한 충격을 주는 내용은 없었지만, 그래도 이전 책에서 배운 정보를 강화한다는 데 의미가 있었다. 현대 세계를 살아가는 대부분의 사람들은 도파민 중독에 빠져있다. 나 역시 그렇다. 우리는 눈 앞에 있는 달콤한 닭강정을 바로 먹지 않는 것은 매우 힘들어 보인다. 당신은 참을 수..

Book 2023.02.12

Insta Brain (Anders Hansen)

혹시 이 글을 읽는 분들은 다음과 같은 경험 없으신가? 나는 모르는 게 있을 때마다 휴대폰으로 구글 검색을 자주 활용한다. 그래서 검색을 위해 구글 검색을 하는데, 카톡이 많이 와있다. 그래서 카카오톡으로 들어가서 내가 입장해 있는 채팅방에서 무슨 얘기가 오갔는지 훑어본 후에, 나에게 온 1:1 채팅에 답장을 해준다. 이후 마침 내가 관심 있는 주식이 5% 상승했다고 토스 앱에서 푸시 알림이 온다. 무슨 일인지 궁금한 나는 토스 앱으로 가서 해당 주가를 확인한다. 토스 앱에 들어간 김에 내가 산 주식과 관심 있는 주식이 현재 얼마인지 스크롤을 내리면 확인한다. 토스앱을 나온다. 그리고 스스로에게 물어본다. '나 뭐 할려고 핸드폰 켰지?' 나는 이런 경우가 적지 않다. 하루에 휴대폰을 10번 사용한다고 하..

Book 2023.02.04

Extended notes for Seven and a Half Lessons About the Brain (Lisa Feldman Barrett)

이 책은 Lisa Feldman Barrett 이라는 저명한 신경과학자가 쓴 책으로 맨 앞의 한 개의 챕터와 뒤의 7개의 챕터로 되어 있다. 책 이름이 7 nad 1/2 lessons인 이유는 첫 번째 챕터가 1개의 강의가 되기에는 부족하다는 이유라고 그녀는 밝혔다. 하지만 첫 번째 챕터 역시 1개의 강의로 엮어도 될 만큼 내용이 훌륭하다(특히 나 같은 뇌에 대한 지식이 별로 없는 일반인에게는..). 뇌는 생각하기 위해 존재하는 게 아니다. 뇌란 무엇일까? 이 무거운 단백질은 우리에게 어떤 효익을 주지? 나는 뇌가 있음으로써 우리는 생각할 수 있고, 이 생각의 힘 덕택에 우리 인간이 이 행성의 주인인 양 으스댈 수 있다고 생각했다. (사실 진지하게 고민해본 적이 없는 아이디어여서 아마 이 아이디어는 내가..

Book 2023.01.19

도파민 이야기 (이재원)

요즘 내 흥미를 끄는 재밌는 분야를 찾았다. 바로 뇌과학이다. 사람은 누구나 자기 자신에 대해 더 자세히 알고 싶은 욕구가 있고 나 역시 그렇다. 나는 나에 대해 더 자세히 알고 싶었다. ['왜 이리 집중을 못하지?, 'ADHD인가?', '3분 책 보고, 다시 10분 핸드폰 보는 내가 너무 한심해..'] 같은 생각은 예전부터 내 머릿속 한 지분을 차지해왔다. 본격적으로 이 문제에 천착해서 공부하고 부딪혀봤으면 좋았으련만 그렇게 해야할 동기의 정도가 나에게는 크지 않았던 거 같다. 귀찮았고, 나의 뇌를 알고 싶다는 욕구보다 세상에는 나의 시선을 끄는 자극적인 요소들이 너무나 많았으니까 말이다. 뇌과학 책을 나와 비슷한 성향을 가진 사람들이 읽기를 꺼려하는 이유 중 하나는 아마 용어의 난해함 때문일 것이다...

Book 2023.01.11

Insta Brain (Anders Hansen)

['나는 왜 몰입하지 못할까?', '나는 왜 이리 집중력이 떨어질까?', '나는 왜 10분마다 휴대전화에 손이 갈까?'] 이 질문들은 평소의 내 걱정거리이자 내 삶에서 해결하고픈 문제들이다. 분야가 어떠하든, 몰입해야 더 좋은 결과물이 나올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특히 나는 '몰입'에 대해 관심이 많았다. 하지만 내 몰입의 지속성은 형편없었고 10분 정도 한계였던 적도 많다. 나는 나의 몰입하는 능력에 대해 스스로 '열등'해서라고 평가하고 있었다. 하지만 이 책을 읽고 그 판단을 조금 보류하기로 했다. 스마트폰만 제 주위에서 떨어뜨려 놓아도 나의 몰입 가능 시간은 조금 더 올릴 수 있겠다는 걸 이 책을 읽고 깨달았다. 책에는 다음과 같은 예가 나온다. 직장에서 서류 작성을 하고 있는데, 휴대전화의 문자 수..

Book 2023.01.05

행복의 기원:인간의 행복은 어디서 오는가 / 생존과 번식 행복은 진화의 산물이다 (서은국)

내가 뭘 할 때 행복한지 모르는 요즘, 어떻게 살아야 행복할지에 대한 답을 찾기 위해서 행복에 관련한 이런저런 책을 찾던 중, 송길영씨가 추천해준 행복의 기원이란 책에서 나의 의문에 대한 답을 청해봤다. 행복이란 뭘까? 행복은 느낌인가? 감정인가? 행복은 지극히 주관적인 느낌(혹은 감정?)이라서 구체적으로 정의하기가 어렵다. 예전부터 어떤 일을 해야 행복한지 고민을 안 한 건 아니지만, 그 깊이가 깊지 않았고, 대부분의 경우 역시 안락한 safety zone에 있는 게 너무 좋고, 벗어나고 싶지 않아 행복에 대한 고민을 많이 해보지 않았다. 하지만 이제 취업 전선에 뛰어들고, 부모님이라는 울타리에서 벗어나서 오로지 나 한 사람의 힘으로 내 삶을 책임지기 위해서 행복에 대한 고민을 깊게 하기 시작했다. 언..

Book 2022.11.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