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저는 이 독서법으로 연봉 3억이 되었습니다 (내성적인 건물주)

평범한 유년기와 청소년기를 거쳐 취업을 해야 할 시기가 왔다. 하지만 방황이라는 미명하게 사회에 나가는 것을 주저하고 있다. 그렇다. 나는 도전하는 게 무서운 것이다. 학창시절 공부를 하지 않았고 잘하지도 않았다. 하지만 고3이 돼서 해야 할 시기가 나에게도 왔다. 남들이 하기 때문에, 참여하지 않으면 내가 소속될 수 있는 무리가 사라질 수 있겠다는 불안감이 들어 그렇게 공부를 시작했다. 하지만 공부를 잘하지 못했다. 당연하다. 왜 공부를 해야 하는지 몰랐기 때문이다. 그냥 다 하니까 했다. 이런 일련의 과정을 거쳐 얼떨결에 대학에 진학했다. 학과 역시 나의 관심사에 대해 깊이 생각해본 적이 없었기 때문에 그 당시에 유망하다는 컴퓨터공학과에 들어갔다. 어릴 때는 그냥 단순히 친구들과 어울려 다니는 게 멋..

Book 2023.03.21

좋은 문구들

욕망 사람들을 이끄는 것은 욕망이며 이 욕망에 의해 세상이 움직인다. 즉 모든 행동의 기저에는 욕망이 있고, 사람들은 무언가를 얻기 위해 움직이고 있다. 지금 내 옆에서 달리는 차도 어떤 목적을 갖고 달리는 것이고, 그 중심에는 욕망이 있는 것이다. 사실 우리 모두는 어떤 목적을 위해 움직이고 있는데, 그 목적이 설령 마음을 비우는 것이라 하더라도 결국은 마음을 비움으로써 자신의 마음을 편하게 하고자 하는 이기적인 목적에 의해 움직이고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 세상은 결국 욕망 대 욕망의 대결, 힘 대 함의 대결이며, 자신의 매력으로 승부하는 것이라 볼 수 있다. 모두가 그것을 위해 노력하고 있고, 이를 자기다움으로 표출하고 있다. 그러므로 책을 읽으면 세상 사람들과 사회를 이해할 수 있고, 그 중심에..

Doodle 2022.11.29

독서법도 모르면서 책을 읽는 사람들 (진낙식, 독서 마라토너)

독서법도 모르면서 책을 읽는 사람들 나는 집중력이 그리 좋지 않은 편이기 때문에 시각적이 자극 없이 단순히 텍스트로만 이루어진 책을 장시간 몰입해서 읽기에는 무리가 있다. 그래서 요즘은 며칠 단위로 책을 읽으려고 하는데, 문제는 며칠 단위로 읽으면 앞 내용이 뭐였는지 까먹는다는 것이다. 책을 읽는 순간에는 이해한다는 착각을 내 자신에게 주면서도, 정작 책을 다 읽었을 때는 책의 전반적인 내용, 저자가 말하고자 하는 요지가 잘 기억나지 않는다. 이 책도 마찬가지다. 며칠 간 게으름 때문에 약 일주일에 걸쳐서 책을 마무리 했지만 정작 어떤 방식으로 책을 읽어야 하는지 잘 모르겠다. 한 가지 기억나는 게 있다면 그냥 일단 많이 읽어라이다. 지금까지 약 3주에 걸쳐서 3 ~ 4권 정도의 독서법 책을 읽어봤는데,..

Book 2022.11.07

백수의 1만 권 독서법 (김병완)

백수의 1만 권 독서법 by 김병완 독서하는 습관을 가지고 꾸준히 독서하는 삶(?)을 살아가기 위해서 독서법에 대한 책을 3권째 읽지만 아직 '아, 이거구나!' 하는 인사이트에 대한 건 얻지 못했다. 이번 책도 저자의 경험을 기반으로 어떻게 책을 읽게 됐고, 책을 읽은 후 어떤 변화를 겪었는지에 대한 저자 개인적인 경험이 내용의 주를 이루고 있다. 그렇다고 해서 유익하지 않았다는 건 아니지만 내게 엄청나게 새로운 인사이트를 제공해주지는 못했다. 아니 내 내공이 아직 부족한 걸 수도... 솔직히 중간에 추석도 끼고 노트북도 새로 장만해서 들뜬 마음에 연속적으로 책을 읽는 데 실패했다. 그래서 머릿속에 책의 내용이 유기적으로 이어지지는 않지만 최대한 기억에 의존해서 후기를 작성해보겠다. (틀린 정보가 있을 ..

Book 2022.11.07

세계 최고 인재들은 어떻게 읽는가 (아카바 유지)

세계 최고 인재들은 어떻게 읽는가 by 아카바 유지 어릴 때부터 독서를 많이 해야 한다는 사회 분위기 속에서 자란 거 같다. 부모님 세대들은 게임이나 친구들과 같이 하는 활동보다는 책 읽기를 권장해서 그런지 모르겠지만 독서라는 활동은 언제나 환영받는 분위기였다. 나 역시 이런 분위기에서 성장했기 때문에 어릴 때 독서보다는 친구들과 어울려서 하는 활동이나 컴퓨터 게임을 많이 했지만, 성인이 된 이후에는 독서를 해야겠다는 다소 당위성이 섞인 갈망이 항상 존재했다. 어릴 때는 잘생기고, 친구들에게 인기 많은 아이가 내 우상이었다면 성인이 되고 난 이후에는 독서를 즐기는 사람이 너무 멋있고 부러워 보였고 동시에 닮고 싶었다. 어떻게 그들은 게임이나 다른 사람이랑 어울리는 것보다 독서가 즐겁다고 말하는 걸까? 이..

Book 2022.11.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