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업도전기 5

창업형 인간되기 #5

# 작용 반작용의 원리 창업형 인간이 되고 싶다면 여러분이 살고 있는 이 세계에 물리적인 작용을 가해라. 도전하라. 실행하라. 지금까지 당신의 세계가 만족스럽지 않았다면 당신은 그냥 물 흘러가듯이 살아왔을 가능성이 높다. # 세탁기의 가격을 높이는 방법 돈을 많이 벌고 싶다면 당신의 기능을 개선하고, 스스로를 브랜딩하자. 매우 쉬운 소리 같지만 이것보다 빠른 방법은 없다고 생각한다. 티끌 모으는 습관을 버리자. 그 티클을 여러분들의 기능에 개선하는데 투자하자. 그렇게 투자를 하고 개선하다 보면 시장이 여러분들에게 매기는 가치는 더 높아질 수밖에 없다. 세탁기를 가격을 높이기 위해서는 세탁기의 기능을 개선하고 브랜드 가치를 올려야지, 어떻게 하면 세탁기 원가 절감을 할 수 있을지 고민만 해서는 안 된다. ..

창업도전기 2023.05.22

창업형 인간되기 #4

아예 자본이 들어가지 않는 창업이란 존재하지 않는다. 시간이라는 자원 자체가 자본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우리는 자본 자체가 별로 없기 때문에 자본을 외부에서 출자(?)할 수도 있다. 초기 자본 획득 전략 1 - 정부 지원 사업 정부지원 사업의 가장 좋은 점은 꽤 큰돈을 받았음에도 상환 의무가 없다는 점이다. 우리나라가 사실 창업을 하기 꽤 좋은 여건에 있다. 왜냐하면 너무 많은 정부지원 사업이 있고 조금만 노력한다면 그 지원의 수혜자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정부 사업을 받을 수 있는 사업인지 체크리스트 기술적인 요소가 들어가 있느냐. 정부 지원은 치킨집 같은 자영업 수준의 창업에는 거의 지원을 해주지 않는다. 소위 말해서 IT, Bio, IOT, AI 같은 기술력이 결합돼 있어야 한다. 정부 지원 사업..

창업도전기 2023.05.20

창업형 인간되기 #3

# 패스트 팔로워 전략 세상에 완전한 독점이란 존재하지 않는다. 그러니 초기에는 패스트팔로워 전략을 사용하자. 쉽게 말해서 모방하란 말이다. 기존 시장에서 강력한 M/S를 차지하고 있는 기업의 점유율을 조금만 뺏어오더라도 초기 창업자 입장에서는 매우 유용한 지표로 작용할 수 있다. 모방하라는 건 알겠다. 그런데 어떻게 하면 작지만 의미 있는 점유율을 가져올 수 있을까? 바로 그 시장의 고객 중에서도 특정 고객층을 대상으로 서비스나 제품을 출시하라. 예를 들어, 고방이라는 고시원 중개 서비스가 있는데, 이 서비스는 고시원 수요층만을 대상으로 서비스를 제공한다. 만약 이 서비스가 현재 이 시장의 점유율이 가장 높은 다방이나 직방의 수요층(원룸, 아파트, 오피스텔 등)을 대상으로 서비스를 제공한다면 어떻게 됐..

창업도전기 2023.05.19

창업형 인간되기 #2

실행력은 어떻게 만드는가? 실행력은 의지로 만들어지지 않는다. 바로 망각 시스템 때문이다. 제 아무리 지금 자신의 상태가 의지와 열정 뿜뿜이라도 요놈의 망각 시스템 때문에 3일 후에 우리는 우리가 느낀 의지나 열정을 '망각'할 수밖에 없게끔 시스템 되어 있다. 그렇다면 실행력을 만들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 바로 메타인지 향상과 주변 환경을 구축하는 능력이다. 인정해라 당신은 의지가 약한 사람이다. 그리고 자각해라. 내가 의지가 약한 사람이니 환경을 설정해라. 1) 회피 동기 2) 접근 동기 어떤 일을 성공시키고 싶다면 회피 동기와 접근 동기를 적절히 섞으면 성공 확률이 매우 올라간다. 예를 들어, 내가 엄마에게 살 빼면 1,000만 원을 준다고 약속을 해도 그녀는 실패시 실패 시 그녀가 지우는 리스크가 ..

창업도전기 2023.05.18

창업형 인간되기 #1

인간에게 탑재된 시스템 (당신은 분석하기 어려울 만큼 특별한 존재가 아니다. 자의식을 해체하라. 당신은 기계 시스템이다) 1. 망각 시스템: 사람은 망각의 동물이다. 망각 시스템이 없다면 우리는 생존할 수 없다. 소중한 사람이 죽었거나 수치스러운 순간을 잊지 못한다면 행복감은 감소하고 우울과 불안의 감정만 느끼게 될 것이다. 이런 감정을 오랜 시간 품고서는 생존할 수 없다. 그러니 자연은 우리에게 망각이라는 수단을 주었다. 2. 방어 시스템: 사람은 리스크를 회피하려는 방어 시스템이 있다. 하지만 현대 세계에서는 이는 장애물로 작용하는 경우가 더 많다. 낯설다는 것은 위험하다는 말과 다르지 않았다. 예전 수렵채집인 시대에는 그랬다. 처음 본 버섯에 독이 있을 줄 누가 알랴? 하지만 이제 우리는 세계에 대..

창업도전기 2023.05.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