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적인 학교에서는 노동자가 되기 위한 교육을 한다. 우리가 지금까지 배운 교육은 노동자가 되기 위한 교육이다. 사업가가 되기 위해서는 학교에서 가르쳐주지 않는 배움이 필요하다.
- 실패를 여러 번 했고 계속해서 다시 도전해봤다는 거. 이게 월 천 만원 버는 사람들의 특징이다.
- 월 천 만원 이상 벌려면 무조건 사업을 해야 한다.
- 사업은 별 거 없다. 실행과 개선 이건 반복하면 먹고 사는 데는 문제없을 만큼 번다. 하지만 이걸 못하게 하는 게 있는데 바로 투자금이다. 사업을 시작하기 위해서는 투자금이 필요하다. 그래서 아무것도 없는 일반인이 사업을 하려면 사업할 자금을 투자받거나 모아야 한다. 대부분의 직장인들은 돈을 모아서 사업을 시작하려고 한다.
- 월 300 받는데 1억 벌려면 얼마나 걸릴까?
- 사업을 하려면 돈이 있어야 해. -> 이게 돈을 못 벌게 만드는 함정. 장벽이 높은 것처럼 느껴짐
- 적은 자본으로 할 수 있는 사업을 찾아야 함 ---> 메신저 사업: 당연하다고 생각하는 내 경험과 지식을 상품으로 만들어서 필요한 사람들에게 제공하는 것. 그리고 일정한 돈을 받는 것.
- 내 경험과 지식을 누구에게 팔 수 있을까? 나는 너무 평범하다고? 할 수 있다. 1개라도 팔아보자. 그리고 개선하고 다시 팔자. 이게 사업의 시작과 끝이다.
- 사업을 반복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만들어야 한다.
- 난 아직 경험도 부족한데, 조금 더 공부하고 할까? <-- 이 고정관념이 실행을 못하게 만드는 가장 큰 적이다. 경제적 자유는 사고방식이 유연한 사람만이 얻을 수 있다.
- 전문가만 가르칠 수 있는 게 아니다.
- 전문가는 준전문가, 아마추어, 초보자 모두를 가르칠 수 있다.
- 아마추어는 초보자나 입문자를 가르칠 수 있다.
- 당신이 필요 없다고 하여 모두가 그런 것은 아니다
- 내가 좋아하고 사랑하는 것
- 내가 시간 가는 줄 모르고 하는 게 뭘까?
- 일이 없을 때 평소에 뭘하지?
- 돈을 받지 않아도 하는 게 뭐지?
- 나는 어떤 걸 할 때 행복했지?
- 나를 움직이게 만드는 원동력은 뭐지?
- 내가 배우고 싶은 것. 조금이라도 흥미가 있거나 관심을 가질 수 있는 것
- 홍익인간 이론: 상대방을 이롭게 만드는 게 먼저다. 상대방이 필요로 하는 걸 제공하고 1000명의 팬을 만들면 된다. 그러면 먹고사는 데 문제가 없다.
- 서로 윈윈하는 구조를 사랑해야 한다.
'Doodl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월가아재의 제2라운드 투자 수업 : 월가에서 천당과 지옥을 오가며 터득한 이기는 투자 원리 필기 (0) | 2023.03.25 |
---|---|
The System 필기 (0) | 2023.03.23 |
공자가 죽어야 나라가 산다 마음에 드는 표현들 (0) | 2023.03.18 |
Originals 필기 (0) | 2023.03.14 |
SayNo의 가르침 필기 (0) | 2023.03.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