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odle 31

우리는 왜 돈을 벌고 싶어하지?

The Psychology of Money (Morgan Housel) 돈을 많이 벌어서 좋은 집, 좋은 차를 갖고 싶다고 생각하지만 사실은 그 물건을 진짜로 원한다기보다는 그 물건을 소유하고 소비함으로써 남들에게 비춰질 나의 모습, 남들이 나를 부러워할 것이라는 생각을 원하는 것이다. 어느 정도 선을 넘어서서 소비를 하는 것은 대개 자신의 소득과 관련된 자존심의 반영이며, 내가 돈이 있다고 혹은 돈이 있었다고 사람들에게 보여주려는 행위이다. 우리는 보이는 것으로 부를 판단하는 경향이 있다. 눈앞에 있는 정보가 그것이기 때문이다. 남들의 은행 잔고나 주식 잔고는 보이지 않는다. 그래서 우리는 겉으로 드러나는 것에 의존해 남들의 금전적 성공을 가늠한다. 자동차, 집, 인스타그램에 올라온 사진 같은 것 말이..

Doodle 2023.02.13

좋은 습관과 나쁜 습관 by Atomic Habits

좋은 습관을 만드는 방법 첫 번재 법칙(신호): 분명하게 만들어라. 두 번째 법칙(열망): 매력적으로 만들어라. 세 번째 법칙(반응): 하기 쉽게 만들어라. 네 번째 법칙(보상): 만족스럽게 만들어라. 나쁜 습관을 깨뜨리는 방법 첫 번재 법칙(신호): 보이지 않게 만들어라. 두 번째 법칙(열망): 매력적이지 않게 만들어라. 세 번째 법칙(반응): 하기 어렵게 만들어라. 네 번째 법칙(보상): 불만족스럽게 만들어라.

Doodle 2023.01.20

디지털 세계를 여행하는 사람들을 위한 안전 수칙

기본적으로 해야할 일들 휴대전화 사용 시간을 체크해보자. 휴대전화를 얼마나 자주 집어 드는지, 얼마나 오래 사용하는지 알려주는 앱을 사용해 보자. 이렇게 하면 휴대전화가 당신의 시간을 얼마나 많이 빼앗고 있는지 명백하게 볼 수 있다. 인식은 변화의 첫 걸음이다. 자명종 시계와 손목 시계를 구입하자. 필요 없는 기능까지 휴대전화에 맡기지 말자. 하루에 1~2시간 정도 휴대전화를 끄자. 주변 사람들에게 매일 1~2시간씩 휴대전화를 사용하지 않기로 했다고 말하자. 그러면 당신이 대답을 안 한다고 짜증이나 화를 내는 메시지를 받지 않을 것이다. 모든 푸시알림을 꺼라. 휴대전화를 흑백 톤으로 설정하자. 색채가 없는 디스플레이는 도파민 분비량을 줄이며, 도파민 분비가 줄어들면 스크롤을 하려는 마음에도 영향을 미친다..

Doodle 2023.01.04

Insta Brain Memo

우리는 더 오래 살고, 더 건강하며, 클릭 한 번이면 전 세계의 오락물에 접속할 수 있다. 그런데도 우리는 그 어느 때보다 더 우울해 보인다. 어쩌다가 이렇게 되었을까? HPA축(시상하부-뇌하수체-부신축) -> 사자를 보면 HPA축은 경보를 울리고 적합한 대응을 하라는 신호를 보낸다. 시상하부(hypothalamus)에서 시작된 반응은 뇌하수체(pituitary gland)에, 뇌하수체는 부신(adrenal glands)에 코르티솔을 분비하라고 요청한다. 코르티솔은 에너지를 최고조로 끌어올리고 심장을 더욱 빠르게 뛰게 하는데, 스트레스 상황에서 심박수가 올라가는 것은 모두 경험으로 알 것이다. 그런데 왜 심박수가 올라갈까? 싸우거나 가능한 한 빨리 달아나기 위해 신체의 근육은 더 많은 피가 필요해지고, ..

Doodle 2023.01.03

열두 발자국 메모

젊은이들이 제게 종종 묻는 질문 중 하나가 "잘하는 것과 좋아하는 것 사이에서 뭘 골라야 하나요?"라는 질문입니다. 그리고 대개 성공한 멘토들은 쿨하게 "인생은 짧습니다. 진정 좋아하는 걸 하세요!"라고 답하죠. 그런데 실상 이 질문은 상당히 사치스러운 질문입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안타깝게도 잘하는 게 별로 없어요. 그래서 잘하는 게 있다면 그 자체로 축복입니다. --> 우리는 평소에 잘하는 거 또는 좋아하는 거 또는 잘할 수 있는 것을 찾으라는 말을 많이 들어왔는데 실상은 대부분의 사람들이 잘하는 게 별로 없다는 메시지가 인상적이었다. 오징어잡이 배에 등이 쭉 매달려 있는 모습을 보신 적 있죠? 집어등이라는 건데 오징어를 불러들이는 기능을 합니다. 어느 철학자의 배에 이런 대목이 나옵니다. '지금 우..

Doodle 2023.01.03

Adler's Message

다른 사람과 비교하며 자랑하고, 자신의 것을 인정받으려고 하는 사람은 외려 자신에 대한 믿음이 없는 사람이다. 열등감이 너무 심해서 일부러 자신이 잘났다는 걸 과시하며 자랑하는 것이다. 건전한 열등감은 타인과 비교에서 생기는 게 아니라 '이상적인 나'와 비교해서 생긴다. 따라서 우리는 열등감을 발판삼아 더욱 발전하면 된다. 그러면 된다. 지금의 나보다 더 나은 내가 되는 것. 그것이야말로 진정 가치가 있다. 칭찬이라는 행위는 '좀 더 우위에 있는 사람이 낮은 위치에 있는 사람에게 내리는 평가'이다. 이는 상대를 '조종'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어, 설거지를 하고 있는 엄마 곁으로 와서 아이가 돕는 상황을 가정해보자. 이럴 때 엄마는 어떻게 반응할까? "아이고 잘한다. 우리 딸(아들) 착하네" 그런데 와..

Doodle 2022.12.14

좋은 글귀

링크드인 어느 분의 글 성공의 비결이란 게 있다면, 그 누구도 비판하지 않으며 진심으로 칭찬하며 그 칭찬을 아끼지 않는 것이다. 비판보다는 훨씬 더 유익하고 도움이 된다. 마음에서 우러나온 칭찬을 아낌없이 해주자. 논쟁하고, 지지 않으려 애쓰고, 반박을 하면 때로는 승리를 얻을 수도 있다. 하지만 상대방의 호의를 얻지 못한다면 그것은 공허한 승리에 불과하다. 오히려 논쟁을 이기는 유일한 방법은 논쟁을 피하는 것이다. 사람들과 관계를 맺을 때는 사람이 논리적인 동물이 아니라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 우리는 편견으로 가득차고, 자부심과 허영으로 움직이는 감정적인 동물이다. 그러므로 비난은 위험하다. 사람들을 방어적으로 만들고, 스스로를 정당화하도록 만글기 때문이다.

Doodle 2022.12.11

Atomic Habits 낙서

좋은 습관을 만드는 법 첫 번째 법칙 : 분명하게 만들어라 (매력적이어야 달라진다) 습관 점수표를 활용하라. 현재 습관을 써보고 그것들을 인식하라. 실행 의도를 이용하라. '나는 [언제][어디서][어떤 행동]을 할 것이다.' 습관 쌓기를 이용하라. '[현쟈의 습관]을 하고 나서 [새로운 습관] 할 것이다.' 환경을 디자인하라. 좋은 습관의 신호를 분명하게, 눈에 보이게 만들어라. 두 번째 법칙 : 매력적으로 만들어라 (매력적이어야 달라진다) 우리는 조상들의 뇌를 가지고서 한 번도 직면하지 못한 자극들에 노출돼 살아있다. 지금은 피자, 초콜릿, 치킨이지만 미래에는 더 자극적인 음식이 우리를 기다리고 있을 것이다. 조상들의 뇌를 가지고 언제까지 거부할 수 있을 것인가? 따라서 어떤 행동을 할 가능성을 높이고..

Doodle 2022.12.03